보도자료 | |
[기고] 디지털 어촌의 미래..."청년 머물 수 있어야 수산업 작동" | 2025. 06. 18. <15:56> |
|
· 조회수 : 155 | · 추천수 : 0 |
주요뉴스오피니언 [기고] 디지털 어촌의 미래..."청년 머물 수 있어야 수산업 작동"기사등록 : 2025-06-18 15:38 김태호 전남대학교 해양생산관리학과 교수 2024년 현재, 농어촌 청년 비율은 전체 인구의 10.6%에 불과하다. 이는 전국 평균(24.4%)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고령화율이 50%를 넘긴 지금, 청년의 정착은 단순한 인구정책이 아니라 산업 지속성을 위한 절체절명의 과제다. 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기술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센서와 자동화 장비가 아무리 정교해져도, 이를 운용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할 사람이 없다면 산업은 작동하지 않는다. 현재의 한국 어촌은 기술보다 사람이 부족한 구조적 위기에 처해 있다. 청년이 떠나고 돌아오지 않는 현실 속에서는 아무리 장비를 공급해도 산업화는 시작되지 않는다. 이제 정책의 중심을 기술에서 사람으로, 공급에서 구조로 바꿔야 할 때다. 다음 네 가지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정착 가능한 디지털 클러스터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 정책을 부처 간 통합 기획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청년의 역할을 어업 외 산업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아이슬란드는 Ocean Cluster House를 중심으로 수산 부산물을 활용한 창업, 해양바이오, 스마트 수산가공, 해양관광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청년은 어업인이 아니라 수산업의 기획자, ESG 인증 전문가, 데이터 분석가, 해양환경관리자로서 자리잡고 있다. 한국도 청년이 다양한 가치사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와 산업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
넷째, 정주 기반 혁신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방소멸, 고령화, 인구감소는 더 이상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산업의 존속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기다. 수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청년이 떠나면 산업도 정지한다. 장비보다 사람이 먼저고, 기술보다 정착이 먼저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정의로운 통합', '균형 발전', '청년 기회 확대'라는 국정 방향과 발맞추어, 수산업 역시 구조부터 다시 설계되어야 한다. 디지털 어촌의 출발점은 청년이다. 청년이 머물 수 있어야 수산업이 작동한다. *김태호 전남대 해양생산관리학과 교수는 수산자원 관리와 어업 경영 전문가다. 연근해 어종의 자원 평가, 지속가능한 어획량 산정, 어업인 소득 안정화 방안 등을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대응형 수산 정책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출처: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618000726 |
![]() |
|
![]() |
![]() |
![]() |
|
![]() |
![]() |